티스토리 뷰
BACNet 장비는 여러 개의 Object로 구성되며, 각각의 객체들은 다시 여러 가지 다른 Property 들러 구성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이 Object와 Property에 Access 하여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BACNet에서는 기본적으로 빌딩 자동화에 필요한 Object들을 모아 18가지 형태의 표준화된 Object를 정의해 놓았다.

BACNet은 5개의 범주의 서비스를 표준화하고 있다. 범주별로 표준화된 서비스의 종류는 다음 표 4-3과 같다.
결국 여러 종류의 LAN technology 사용, 표준화된 18가지 객체의 정의, 객체를 통한 자료의 표현과 공유 그리고 표준화된 5가지 범주의 응용서비스 등을 BACNet의 특징이라 말할 수 있다.

LonWorks는 미국 Echelon사에서 개발된 제어용 통신 프로토콜로 분산 환경, 개방성, 단위 디바이스의 상호 운용성을 강조하고 있다. LonWorks는 BACnet의 일부이기도 하지만 ANSVELA 709.1(제어 네트워킹), IBEE 1473(기차/전동차 제어), SEMI E54.6 (반도체 장비) 등의 표준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Lon Works의 핵심은 LonTalk이라고 하는 프로토콜이다. LonTalk은 프로세서에 대한 제약은 없으나, 대부분의 디바이스들이 Toshiba와 Motorola(2001년부터는 Cypress로 대체)에서 생산되는 31x0 계열의 Neuron 칩으로 구현하고 있다.
LonWorks에서는 통신의 상호 운용성을 확고히 하기 위해 Lon Talk 디바이스 공급자와 사용자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인 LonlMark Inter-operability Association이라는 별도의 단체가 설립되었으며, Lon Works 기기, 트랜시버(transceiver), Object modeling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또 LNS라 불리는 plug-in을 지원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Client Server Architecture를 제공하여 제어시스템 구현을 용이하게 한다. LonTalk은 OSI 7계층에 준하는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1~6계층까지가 Transceiver 및 Neuron Chip에서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형태로 제공된다.
twisted pair cable, power line(AC 100/220V), linked power DC 24V), 무선 (radio freguency), 동축 케이블, 광섬유(opical tber), 적외선(intra-red) 등의 매체 지원 및 free topology 구성을 지원한다.
2가지 방법이 있지만 정보 교환의 우선적인 방법은 network variables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Explicit messages는 data grams와 같은 다른 network protocols가 유사하다. 어떤 explicit messages는 Echelon에 의해 정의되지만, 많은 부분은 사용자가 지정한 메시지로써 유용하게 사용된다.
산업 자동화의 네트워크들은 요구된 공정들을 제어하기 위해 디바이스에서 디바이스로 '스위치의 상태나 현재 룸의 온도'와 같은 프로세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는데 network variables라는 특별한 방법으로 위와 같은 타입의 정보를 간단하게 교환하게 한다. 각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device document의 일부로써 network variable description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제조업체에서 다르게 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상호 교환적인 것을 증진하기 위해 standard variables를 지정하게 되었는데, 이것을 Standard Network Variable Types(SNVTs)라고 부른다.
SNVTs는 LonlMark Interoperability Association에서 제정하며, 현재 서로 다른 120개의 SNVTs가 지정되어 있다. 각 SNVT의 정의는 engineering units와 possible values의 범위도 포함되어 있다.
'자동제어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에너지 제어 기술 (Energy Control Technology) (0) | 2024.02.20 |
---|---|
16.건물에서의 에너지 관리 계획 (0) | 2024.02.19 |
14. 통신 프로토콜이란? (0) | 2024.02.15 |
13.중앙관제 장치의 관제 규모 (0) | 2024.02.15 |
12.빌딩 자동제어 시스템의 도입 효과 (0) | 2024.02.15 |